1️⃣ 메타데이터(저작권·유통 정보) 우선 적용 이슈
애플뮤직은 음원 유통사가 넘긴 메타데이터를 그대로 반영합니다.
이때 ‘아티스트명’ 대신 ‘권리자/레이블명’ 또는 법적 표기 약자가 우선 노출되면 예명(Lauv) 대신 ‘R.S.B’ 같은 표기가 뜰 수 있습니다.
특히 동일 곡이라도 싱글·컴필레이션·리패키지 버전마다 메타데이터가 달라 발생하며, 지역 스토어별 검수 타이밍 차이로 일부 계정에서만 보이는 경우가 흔합니다.
2️⃣ 지역 카탈로그 분화·병합 과정에서의 일시적 표시
글로벌 서비스는 국가·지역별로 카탈로그 ID가 다르고, 동일 아티스트라도 로컬 라이선스가 나뉘면 서로 다른 ‘아티스트 페이지’로 분리됩니다.
이 병합/정리 과정에서 임시 식별자나 약칭이 노출돼 ‘R.S.B’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한동안 검색은 Lauv로, 상세 페이지는 다른 약자로 뜨는 등 표기 불일치가 생기기도 합니다.
보통 며칠~수주 내 정정되지만, 유통사가 재전송해야 고쳐지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3️⃣ 컴필레이션·피처링·작곡자 필드 혼선
컴필레이션(모음집)이나 사운드트랙에서는 메인 아티스트가 아니라 참여 아티스트/저작권자 필드가 상단에 노출되기도 합니다.
또한 피처링 표기나 작곡자 필드가 잘못 매핑되면 예명 대신 약자/법인명이 타이틀 영역에 올라옵니다.
동일 곡이 ‘싱글’에선 Lauv, ‘플레이리스트/모음집’에선 R.S.B로 달리 보이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4️⃣ 기기·앱 캐시와 국가 설정 영향
iOS/Android·데스크톱 뮤직 앱은 로컬 캐시를 강하게 씁니다.
과거 잘못된 아티스트명이 캐시에 남으면 수정 이후에도 계속 ‘R.S.B’로 보일 수 있어요. 또 국가/지역 스토어가 다르면 다른 메타데이터를 받아 표시가 엇갈립니다.
계정 국가 확인 → 로그아웃/재로그인 → 다운로드 보관함 재로딩 → 앱 캐시 초기화만으로 바뀌는 경우가 많습니다.
5️⃣ 빠른 자가 점검 & 임시 해결 체크리스트
- 검색 비교: ‘Lauv’로 검색 후, 아티스트 페이지 상단 이름과 앨범 상세의 표기가 일치하는지 확인
- 다른 버전 열람: 동일 곡의 싱글/앨범/컴필레이션 버전을 각각 열어 표기 차이 확인
- 캐시 초기화: 앱 강제 종료 → 재설치 또는 보관함 동기화 새로고침
- 지역 확인: 설정 > 미디어 및 구입 항목 > 국가/지역이 실제 사용 지역과 일치하는지 확인
- 오류 신고: 곡 상세의 문제 보고(Report a Concern) 또는 Apple Music 피드백/유통사 고객지원에 메타데이터 정정 요청
정리
‘R.S.B’ 표시는 대체로 표시 로직+메타데이터의 합작품입니다.
사용자 단에선 캐시 초기화·국가 설정 점검으로, 서비스 단에선 유통사가 아티스트 필드를 정정해야 완전히 해결됩니다.
일시적 현상이니 위 체크리스트를 따라 점검하시고, 계속 지속된다면 오류 신고로 빠른 수정을 유도하세요.
.p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