빕스(VIPS) 알바비 세후 급여 계산방법

외식 프랜차이즈 아르바이트 중에서도 빕스(VIPS)는 근무 시간이 길고 인센티브가 있는 경우가 있어 실수령액 계산이 궁금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건강보험·국민연금 같은 4대보험 공제가 적용되면 ‘왜 월급이 이렇게 나왔지?’라는 의문이 생기죠.

아래는 실 계산 방식과 함께, 제공된 급여명세 이미지 기준으로 어떤 공제가 적용됐고 실제 세후 금액이 어떻게 산출되었는지 해결해드립니다.







✅ 빕스 알바 급여 기본 계산 방식

빕스 알바는 보통 시급 × 근무시간 + (야간/연장/휴일 수당) + 인센티브 방식으로 급여가 계산됩니다.

 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이며, 빕스 매장에 따라 기본 시급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 주휴수당은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자동 지급되며, 시간당 시급의 약 1/5 수준으로 추가됩니다.

빕스는 매장 매출 등 기준에 따라 인센티브가 포함되는 경우도 있어 기본 노동계산 외 추가 수입이 생기는 구조입니다.



✅ 세후 급여 계산 공식 (4대보험 적용 시)

아르바이트생이더라도 1개월 60시간 이상 근무하면 국민연금·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이 공제됩니다.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세후 급여 = 총 지급액 − (국민연금 + 건강보험 + 장기요양보험 + 기타공제)

보통 알바생이 부담하는 비율:

  • 국민연금: 급여의 약 4.5%

  • 건강보험: 약 3.545%

  • 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료의 약 12.95%

  • 고용보험: 약 0.9%

4대보험 가입 시 총 약 8~9% 수준이 빠진다고 생각하면 편합니다.




✅ 실제 명세서 분석 — 왜 이렇게 깎였을까?

지급액을 예시로 세부 해석을 해보면:

항목 금액
총 지급액 2,457,775원
인센티브 209,250원 포함
기타 공제 209,250원
장기요양보험 11,280원
국민연금 0원
건강보험 null (미부과 또는 미처리 상태)

즉, 이번 지급액 국민연금·건강보험은 미적용(또는 해당월 반영 전)이고,
실 공제는 기타공제 + 장기요양보험 = 220,530원 수준입니다.

따라서 실수령액 예상 = 2,457,775원 − 약 220,530원 = 약 2,237,245원

여기서 ‘기타공제 209,250원’은 거의 인센티브 상계 처리로 보이며, 일부 매장에서는 인센티브 지급 구조상 급여정산 방식으로 차감되었다가 별도 지급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왜 건강보험이 null이고 국민연금이 0일까?

이 경우는 아래 중 하나입니다.

  • 해당월 보험료 반영이 다음달로 이월

  • 근무시간이 일정기준 미달했거나 신규/퇴사 시점 겹침

  • 시스템 미반영 상태(월말·정산 시 자동 반영 예정)

4대보험 미가입이 아니라, 이번 급여서류에서 아직 반영 안 된 상태일 가능성이 큽니다.


다음달 급여명세서에서 국민연금·건강보험 항목이 발생할 확률이 높습니다.




✅ 빕스 알바 실수령액 높게 받는 팁

  • 주 15시간 이상 근무 → 주휴수당 확보

  • 배달/포장·매출 시즌 인센티브 체크

  • 새벽·주말 근무 시 연장/야간/휴일 수당 챙기기

  • 근로계약·급여명세서 캡처 보관(추후 이슈 대비)

  • 4대보험 가입 여부 확인(월말 공제 후 당황 방지)

👉 알바 초반엔 실수령액이 예상보다 적게 느껴질 수 있으나,
다음달부터 전체 공제 구조가 안정되면 계산이 일정해집니다.

다음 이전